본문 바로가기

IT

클라우드에서 VPC란?

728x90
반응형

 

 

 

VPC (Virtual Private Cloud)란?

 

**👉 VPC (가상 사설 클라우드)**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자만의 독립적인 네트워크 공간을 제공하는 가상 네트워크입니다.


AWS, Azure, GCP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리소스를 격리된 환경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1. VPC의 주요 기능

 

논리적으로 독립된 네트워크 환경 제공 – 각 사용자가 자신의 VPC를 가질 수 있음
IP 주소 범위 설정 가능 – 사용자 정의 가능 (CIDR 블록 지정)
서브넷(Subnet) 구성 가능 – 퍼블릭 서브넷, 프라이빗 서브넷 설정
인터넷 및 온프레미스 연결 지원 – Internet Gateway, VPN, Direct Connect 연계
보안 설정 가능 – 보안 그룹(Security Group), 네트워크 ACL로 접근 제어

 


🔹 2. VPC 아키텍처 예시

[ 인터넷 ]
    │
[ Internet Gateway ]
    │
┌─────────── VPC ────────────┐
│  ┌──────────────┐  ┌──────────────┐  │
│  │ Public Subnet │  │ Private Subnet │  │
│  │ (EC2, ALB)    │  │ (DB, 내부 서비스)│  │
│  └──────────────┘  └──────────────┘  │
└───────────────────────────────────┘
 

 

Public Subnet – 인터넷에서 접근 가능 (예: 웹 서버)
Private Subnet – 인터넷에서 직접 접근 불가 (예: 데이터베이스)
Internet Gateway – VPC의 퍼블릭 리소스를 인터넷과 연결
NAT Gateway – 프라이빗 서브넷에서 인터넷으로 나가는 트래픽 처리

 


🔹 3. VPC의 핵심 구성 요소

 

📌 1) 서브넷 (Subnet)

  • VPC 내부에서 IP 주소 범위를 나누어 구분하는 네트워크 단위
  • 퍼블릭 서브넷 (Public Subnet) → 인터넷에 접근 가능
  • 프라이빗 서브넷 (Private Subnet) → 인터넷에서 직접 접근 불가

📌 2) 라우트 테이블 (Route Table)

  • 네트워크 트래픽의 경로를 정의
  • VPC 내의 서브넷 간 통신 및 외부 연결 설정 가능

📌 3) 인터넷 게이트웨이 (Internet Gateway)

  • VPC를 인터넷과 연결하는 장치
  • 퍼블릭 서브넷이 인터넷과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

📌 4) NAT Gateway

  • 프라이빗 서브넷에서 인터넷으로 나가는 트래픽을 중계
  • 외부 인터넷에서 프라이빗 서브넷으로 직접 접근은 불가능

📌 5) 보안 그룹 (Security Group) & 네트워크 ACL

  • 보안 그룹 → 인스턴스 레벨에서 허용할 트래픽 설정
  • 네트워크 ACL → 서브넷 레벨에서 허용 및 차단할 트래픽 설정

🔹 4. VPC 사용 사례

 

📌 1)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

  • 웹 서버는 퍼블릭 서브넷,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프라이빗 서브넷에 배치
  • ALB(Application Load Balancer)와 연결하여 확장성 있는 구조 운영

📌 2) 온프레미스 네트워크 연동

  • AWS VPC ↔ 기업 내부 네트워크 연결 (VPN 또는 Direct Connect 활용)
  • 온프레미스 환경과 AWS 간 데이터베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연동

📌 3) 멀티 계정 네트워크 아키텍처

  • AWS Organizations를 이용해 여러 AWS 계정에 VPC 구성
  • Transit Gateway를 활용하여 여러 개의 VPC 연결

📌 4) 보안 강화된 환경 구성

  • AWS WAF, GuardDuty, Security Hub 등을 연계하여 보안 강화
  • DDoS 방어, 침입 탐지 시스템(IDS/IPS) 운영 가능

🔹 5. VPC Peering vs. Transit Gateway 차이점

 

비교 항목 VPC Peering Transit Gateway
연결 방식 개별 VPC 간 직접 연결 여러 VPC를 중앙에서 연결
확장성 제한적 (1:1 연결) 확장성 뛰어남 (다수의 VPC 연결 가능)
라우팅 관리 수동으로 개별 설정 중앙에서 라우팅 관리 가능
온프레미스 연결 직접 지원 안됨 Direct Connect, VPN 연동 가능
보안 및 관리 개별 VPC마다 설정 필요 중앙에서 일괄 보안 정책 적용 가능

 

 

🚀 즉, VPC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자의 네트워크를 격리하는 핵심 요소! 🚀

 

 

 

 

300x250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키와 공개키의 역할과 차이는? (Python, Java 예시)  (0) 2025.04.22
udid와 uuid의 차이점은?  (0) 2025.04.21
MGMT VPC 란?  (0) 2025.04.14
Transit GW와 Internet GW 차이는?  (0) 2025.04.14
curl 개념은?  (0) 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