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Transit Gateway (Transit GW) vs. Internet Gateway (IGW) 차이점
👉 두 개의 게이트웨이는 AWS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목적과 기능이 다릅니다.
구분 | Transit Gateway (Transit GW) | Internet Gateway (IGW) |
주요 역할 | 여러 VPC, 온프레미스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중앙 허브 | VPC 내부 리소스를 인터넷과 연결 |
연결 대상 | VPC, 온프레미스, VPN, Direct Connect | 인터넷 (공인 IP 필요) |
사용 목적 | 사내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네트워크 간 연결 | VPC 내 EC2가 인터넷과 통신 가능하도록 설정 |
라우팅 방식 | VPC 간, 온프레미스 간 트래픽을 중앙에서 관리 | 인터넷으로 나가는 트래픽을 처리 |
NAT 기능 | ❌ NAT 기능 없음 | ❌ NAT 기능 없음 (NAT Gateway 필요) |
보안 그룹 및 ACL | VPC 내부 네트워크 간 트래픽 제어 | 보안 그룹과 ACL로 인터넷 접근 제어 |
요금 | 유료 (시간당 및 데이터 처리량 과금) | 무료 |
🔹 1. Transit Gateway (Transit GW) 개요
👉 여러 개의 VPC, 온프레미스 네트워크를 하나의 허브로 연결하는 서비스
📌 VPC 간 연결, VPN 및 Direct Connect 연계 가능
📌 VPC Peering보다 확장성이 뛰어남
✅ 사용 사례:
✔ 여러 개의 VPC 간 통신이 필요한 경우
✔ 온프레미스 네트워크와 AWS 연결 (Direct Connect, VPN)
✔ 멀티 리전 간 네트워크 연결
🖼 Transit Gateway 아키텍처 예시
[ 온프레미스 네트워크 ]
│
(AWS VPN / Direct Connect)
│
[ Transit Gateway ]
┌────┴────┐
[ VPC-1 ] [ VPC-2 ]
│ │
[ EC2 ] [ EC2 ]
🔹 2. Internet Gateway (IGW) 개요
👉 VPC 내부 리소스(EC2, ALB 등)가 인터넷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게이트웨이
📌 IGW가 있어야 EC2에서 인터넷 접속 가능
📌 EC2에 퍼블릭 IP가 할당되어 있어야 인터넷 연결 가능
✅ 사용 사례:
✔ EC2 인스턴스가 인터넷을 통해 외부 서비스와 통신해야 할 때
✔ 웹 서버, API 서버 등을 인터넷에 노출해야 할 때
🖼 Internet Gateway 아키텍처 예시
[ 인터넷 ]
│
[ Internet Gateway ]
│
[ VPC 서브넷 (Public Subnet) ]
│
[ EC2 인스턴스 (퍼블릭 IP 할당) ]
🔹 3. Transit Gateway vs. Internet Gateway 비교 정리
- Transit GW = 여러 VPC 및 온프레미스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허브
- Internet GW = VPC 내부 리소스를 인터넷에 연결하는 역할
즉, IGW는 인터넷과 연결할 때, Transit GW는 내부 네트워크 간 연결할 때 사용!
300x250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에서 VPC란? (0) | 2025.04.15 |
---|---|
MGMT VPC 란? (0) | 2025.04.14 |
curl 개념은? (0) | 2025.04.08 |
백업관리와 소산관리의 차이는? (0) | 2025.03.31 |
cmd 창에서 ipconfig 명령어 쳤을 경우 나오는 결과 의미는? (0)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