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백업관리'와 '소산관리'는 데이터 보호와 비상 상황 대비를 위한 개념이지만, 목적과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1. 백업관리 (Backup Management)
👉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복사하여 보관하고, 필요할 때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 방법
📌 특징
- 주로 디스크, 테이프, 클라우드 등에 데이터를 저장
- 데이터 손실(삭제, 오류, 랜섬웨어 공격 등)에 대비
- 동일한 장소(온사이트)나 별도의 저장소(오프사이트)에 보관 가능
📌 예시
- 업무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클라우드에 저장하여 필요할 때 복구
- 시스템 장애 발생 시 백업 데이터를 활용해 원래 상태로 복원
✅ 핵심 목적: 데이터 복구 가능성을 보장
🚀 2. 소산관리
(Disaster Recovery Management, Offsite Storage Management)
👉 백업 데이터를 지리적으로 떨어진 장소에 보관하여 재난(화재, 지진, 해킹 등)에 대비하는 관리 방법
📌 특징
- 백업 데이터나 IT 시스템을 원거리(타 지역)에 분산 보관
- 단순 데이터 복구뿐만 아니라 전체 시스템 복구를 목표
- 데이터뿐만 아니라 서버, 네트워크 장비 등 IT 인프라 전체를 포함
📌 예시
- 서울 본사 서버가 다운되었을 때, 부산 데이터센터에서 복구
- 데이터센터 화재 발생 시, 다른 지역의 백업 서버로 즉시 전환
✅ 핵심 목적: 재난 발생 시 데이터 및 IT 서비스 연속성 유지
🔎 백업관리 vs 소산관리 차이점 정리
구분 | 백업관리 | 소산관리 |
목적 | 데이터 보호 및 복구 | 재해 발생 시 서비스 연속성 보장 |
대상 | 파일,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등 | IT 시스템 전체(서버, 네트워크, 데이터 등) |
보관 위치 | 같은 장소 또는 근거리 | 원격지, 다른 도시 또는 해외 |
복구 시간 | 상대적으로 짧음 | 재해 복구 계획(DR)에 따라 다름 |
활용 사례 | 파일 복구, 랜섬웨어 복구 | 자연재해, 대규모 사고 대비 시스템 복구 |
📢 결론
백업관리는 단순 데이터 보호를 위한 것이라면,
소산관리는 재난 발생 시 기업의 IT 서비스 전체를 유지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 즉, 백업만으로는 완전한 재난 대비가 되지 않으며, 장기적인 IT 안정성을 위해 소산관리도 필수적입니다!
300x250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ansit GW와 Internet GW 차이는? (0) | 2025.04.14 |
---|---|
curl 개념은? (0) | 2025.04.08 |
cmd 창에서 ipconfig 명령어 쳤을 경우 나오는 결과 의미는? (0) | 2025.03.09 |
cmd창에서 telnet으로 ip, port 명령어 쳐서 통신 확인하는 방법은? (0) | 2025.03.09 |
브릿지페이지와 랜딩페이지 차이는? (0)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