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cmd 창에서 보통 ip 관련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ipconfig 명령어를 실행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가 출력됩니다.
ipconfig 결과에서 나오는 항목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CMD에서 ipconfig 실행 결과 예시
C:\> ipconfig
Windows IP 구성
이더넷 어댑터 이더넷:
연결별 DNS 접미사. . . . : example.com
IPv4 주소 . . . . . . . . : 192.168.1.10
서브넷 마스크 . . . . . . : 255.255.255.0
기본 게이트웨이 . . . . . : 192.168.1.1
무선 LAN 어댑터 Wi-Fi:
연결별 DNS 접미사. . . . :
IPv4 주소 . . . . . . . . : 192.168.1.20
서브넷 마스크 . . . . . . : 255.255.255.0
기본 게이트웨이 . . . . . : 192.168.1.1
위와 같이 이더넷(Ethernet)과 Wi-Fi 정보가 출력될 수 있습니다.
📌 각 항목 설명
1️⃣ 이더넷 어댑터 / 무선 LAN 어댑터
- 유선 연결이면 이더넷 어댑터(Ethernet)
- **무선 연결(Wi-Fi)**이면 무선 LAN 어댑터(Wi-Fi)
-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
2️⃣ IPv4 주소
- 현재 장치(PC)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내부 IP 주소를 표시.
- 예: 192.168.1.10
- 고정 IP(Static IP) 또는 DHCP에서 자동 할당(Dynamic IP) 될 수 있음.
3️⃣ 서브넷 마스크 (Subnet Mask)
-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는 역할.
- 일반적으로 255.255.255.0 (클래스 C 네트워크)
- 같은 서브넷 내에 있는 장치들끼리 직접 통신 가능.
4️⃣ 기본 게이트웨이 (Default Gateway)
- 인터넷이나 다른 네트워크로 나가는 출입구 역할을 하는 장치(보통 공유기)의 IP 주소.
- 예: 192.168.1.1
- 패킷을 외부 네트워크로 전달하는 역할.
5️⃣ 연결별 DNS 접미사
- 해당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접미사.
- 특정 네트워크에서 로컬 도메인 이름을 자동으로 완성하는 데 사용됨.
📌 추가 옵션
🔹 ipconfig /all (자세한 정보 표시)
cmd
C:\> ipconfig /all
- MAC 주소(물리적 주소): 00-1A-2B-3C-4D-5E
- DHCP 사용 여부: IP 자동 할당 여부
- DNS 서버 주소: 8.8.8.8 (Google DNS)
- IPv6 주소: fe80::1d3b:4a5f:6789:abcd%12
🔹 ipconfig /release (IP 주소 반환)
cmd
C:\> ipconfig /release
- 현재 사용 중인 DHCP IP를 해제.
🔹 ipconfig /renew (새 IP 주소 요청)
cmd
C:\> ipconfig /renew
- DHCP 서버에서 새 IP 주소를 받아옴.
🔹 ipconfig /flushdns (DNS 캐시 삭제)
cmd
C:\> ipconfig /flushdns
- DNS 캐시를 초기화하여 네트워크 문제 해결.
✅ 정리
항목 | 설명 |
IPv4 주소 | 현재 장치의 내부 IP 주소 |
서브넷 마스크 | 네트워크 범위 설정 |
기본 게이트웨이 | 외부 네트워크(인터넷)로 나가는 출입구 |
DNS 서버 | 도메인 네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서버 |
물리적 주소 (MAC 주소) | 네트워크 어댑터의 고유 식별자 (ipconfig /all에서 확인 가능) |
💡 Tip: 네트워크 문제가 생겼을 때 ipconfig /release → ipconfig /renew → ipconfig /flushdns 순서로 실행하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
300x250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url 개념은? (0) | 2025.04.08 |
---|---|
백업관리와 소산관리의 차이는? (0) | 2025.03.31 |
cmd창에서 telnet으로 ip, port 명령어 쳐서 통신 확인하는 방법은? (0) | 2025.03.09 |
브릿지페이지와 랜딩페이지 차이는? (0) | 2025.03.03 |
브릿지페이지 개념과 역할은? (0) | 2025.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