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curl -i -k -v -X POST --location은 curl 명령어에서 여러 옵션을 함께 사용하는 예시입니다.
전체 명령어 구성:
curl -i -k -v -X POST --location [URL]
각 옵션 설명:
- -i
➤ 응답(response) 헤더를 포함해서 출력합니다.
예: HTTP/1.1 200 OK, Content-Type, Set-Cookie 등의 정보를 함께 보여줍니다. - -k
➤ SSL 인증서 검증을 하지 않습니다.
인증서가 자가서명(self-signed)이거나 유효하지 않아도 접속을 허용합니다. - -v
➤ 자세한(verbose) 요청/응답 로그를 출력합니다.
요청 보내는 과정, DNS 해석, 연결 시도 등 디버깅용 정보를 출력합니다. - -X POST
➤ HTTP 메서드를 POST로 지정합니다.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합니다 (예: 로그인, 폼 제출 등). - --location
➤ 서버가 응답에서 리다이렉션(3xx 응답 코드)할 경우, 자동으로 따라갑니다.
예를 들어 302 리다이렉션이 오면, Location: 헤더에 명시된 주소로 다시 요청을 보냅니다.
예시:
curl -i -k -v -X POST --location https://example.com/login
이 명령은 HTTPS 주소로 POST 요청을 보내며:
- 응답 헤더 포함 출력
- 인증서 오류 무시
- 연결 및 요청 로그 출력
- 리다이렉션 자동 추적
을 수행합니다.
필요하시면 -d 옵션이나 -H 옵션도 함께 써서 데이터를 보낼 수 있습니다.
예: -d "username=admin&password=1234"
✅ 예제 시나리오
- URL: https://example.com/login
- 요청 방식: POST
- 전송할 데이터:
- username=admin
- password=1234
- 헤더:
- Content-Type: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 기타 옵션:
- 응답 헤더 출력
- 인증서 무시
- 자세한 로그 출력
- 리다이렉션 따라가기
🧾 전체 curl 명령어 예제
curl -i -k -v -X POST --location \
-H "Content-Type: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
-d "username=admin&password=1234" \
https://example.com/login
옵션 설명 요약:
옵션 | 설명 |
-i | 응답 헤더 출력 |
-k | 인증서 무시 (예: 자가서명된 HTTPS도 허용) |
-v | 자세한 디버그 로그 출력 |
-X POST | POST 방식 지정 |
--location | 리다이렉션 자동 추적 |
-H | 헤더 추가 (여기선 Content-Type) |
-d | POST로 보낼 데이터 (폼 데이터 등) |
📝 참고
- 만약 JSON 데이터를 보낸다면 Content-Type을 바꾸고 -d 값도 JSON 형식으로 써야 합니다:
curl -i -k -v -X POST --location \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d '{"username":"admin","password":"1234"}' \
https://example.com/api/login
✅ 예제 시나리오
- URL: https://example.com/login
- 요청 방식: POST
- 전송할 데이터:
- username=admin
- password=1234
- 헤더:
- Content-Type: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 기타 옵션:
- 응답 헤더 출력
- 인증서 무시
- 자세한 로그 출력
- 리다이렉션 따라가기
🧾 전체 curl 명령어 예제
curl -i -k -v -X POST --location \
-H "Content-Type: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
-d "username=admin&password=1234" \
https://example.com/login
🔍 옵션 설명 요약:
옵션 | 설명 |
-i | 응답 헤더 출력 |
-k | 인증서 무시 (예: 자가서명된 HTTPS도 허용) |
-v | 자세한 디버그 로그 출력 |
-X POST | POST 방식 지정 |
--location | 리다이렉션 자동 추적 |
-H | 헤더 추가 (여기선 Content-Type) |
-d | POST로 보낼 데이터 (폼 데이터 등) |
📝 참고
- 만약 JSON 데이터를 보낸다면 Content-Type을 바꾸고 -d 값도 JSON 형식으로 써야 합니다:
curl -i -k -v -X POST --location \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d '{"username":"admin","password":"1234"}' \
https://example.com/api/login
300x250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적인 api 호출이 아닌 브릿지 호출, 콜백url 호출하는 이유와 방식 차이는? (1) | 2025.06.22 |
---|---|
api key에서 access key, secret key 개념과 역할은? (0) | 2025.06.04 |
adid, gaid, idfa 개념과 각각 역할은? (0) | 2025.06.01 |
qr코드 생성 원리와 인식하는 원리는? (0) | 2025.05.14 |
개인키와 공개키의 역할과 차이는? (Python, Java 예시) (0)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