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전용회선 대역폭 개념
전용회선(Business Dedicated Line)의 **대역폭(Bandwidth)**은 초당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량을 의미하며, 보통 bps(bit per second, 초당 비트 수) 단위로 표현됩니다.
✅ 1. 대역폭(Bandwidth)이란?
- 네트워크에서 초당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속도.
- 도로에 비유하면, 차선 수(대역폭)가 많을수록 한 번에 더 많은 차량(데이터)을 보낼 수 있음.
- 단위: bps(bit per second), Kbps, Mbps, Gbps
- 1 Mbps (메가비피에스) = 1,000,000 bps
- 1 Gbps (기가비피에스) = 1,000 Mbps
✅ 2. 전용회선에서 대역폭 예시
전용회선(Leased Line)은 특정 기업이나 기관이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인터넷 회선으로, 안정적인 속도를 제공함.
대역폭설명
1G (1Gbps, 기가급 회선) | 초당 **1,000Mbps (약 125MB/s)**의 데이터를 처리 가능. 대기업,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서버 등에 사용. |
100M (100Mbps, 백메가 회선) | 초당 100Mbps (약 12.5MB/s) 속도. 기업용 인터넷, 병원, 연구소에서 사용. |
10M (10Mbps, 십메가 회선) | 초당 10Mbps (약 1.25MB/s) 속도. 중소기업이나 지점 연결용. |
2M (2Mbps, 이메가 회선) | 초당 2Mbps (약 250KB/s) 속도. 소규모 사무실, VPN 연결 등에 사용. |
예시)
- 1Gbps 회선: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센터, 대기업.
- 100Mbps 회선: 중소기업 사무실에서 인터넷과 VoIP(인터넷 전화) 사용.
- 10Mbps 회선: 지사 간 전용망, 간단한 업무용.
- 2Mbps 회선: VPN, 원격 접속, 금융권 단말기 네트워크.
✅ 3. 전용회선 vs 일반 인터넷
구분전용회선 (Dedicated Line)일반 인터넷 (Shared Line)
대역폭 | 보장된 속도 (100%) | 여러 사용자와 공유 |
속도 저하 | 없음 (항상 일정) | 사용량에 따라 변동 |
안정성 | 매우 높음 (끊김 거의 없음) | 상대적으로 낮음 |
사용처 | 기업, 데이터센터 | 가정, 일반 사무실 |
- 전용회선은 속도가 보장되는 반면, 일반 인터넷(광랜, 공유기 등)은 공유 방식이라 속도 변동이 있음.
✅ 4. 트래픽(데이터 전송량) 개념
- 대역폭(Bandwidth): 최대 전송 가능 속도 (도로의 차선 수)
- 트래픽(Traffic): 실제 사용한 데이터 전송량 (도로를 지나는 차량 수)
예를 들어:
- "1G 트래픽": 최대 1Gbps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음.
- "2M 트래픽": 최대 2Mbps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음.
- "트래픽 초과": 계약한 대역폭보다 많은 데이터를 사용하면 속도가 제한될 수 있음.
✅ 5. 회선 선택 시 고려할 점
- 사용 목적: 기업 내 인터넷/서버 운영인지, 단순 사무용인지
- 동시 접속자 수: 많은 사람이 사용할수록 높은 대역폭 필요
- 트래픽 양: 고화질 영상, 대용량 파일 전송이 많으면 높은 속도 필요
- QoS (서비스 품질 보장): 영상통화, 금융 거래는 안정적인 속도 보장이 중요
✅ 정리
- 대역폭(Bandwidth) = 초당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속도 (bps).
- 전용회선 대역폭 예시:
- 1Gbps (1G) → 대기업, 데이터센터
- 100Mbps (100M) → 중소기업 사무실
- 10Mbps (10M) → 소규모 네트워크
- 2Mbps (2M) → VPN, 원격 접속
- 트래픽(Traffic) = 실제 전송된 데이터량.
- 전용회선은 속도 보장, 일반 인터넷은 공유 방식으로 속도 변동 가능.
🚀 결론:
필요한 트래픽 양과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한 대역폭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
300x250
반응형
'IT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용회선 라우터 역할과 변경 작업 방법은? (0) | 2025.03.11 |
---|---|
내부ip와 공인ip의 차이는? (0) | 2025.03.10 |
대역폭과 트래픽 산정하는 방식은? (0) | 2025.03.09 |
전용선 통신방향, hostname, ip, 전용선ip, 전용선 vip, port 각 역할은? (0) | 2025.03.03 |
ssl 인증서 교체하는 방법 (0)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