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네트워크

대역폭과 트래픽 산정하는 방식은?

728x90
반응형

 

 

 

 

📌 대역폭(Bandwidth)과 트래픽(Traffic) 산정 방식

네트워크 환경에서 대역폭과 트래픽을 정확히 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해 드릴게요.


1. 대역폭(Bandwidth)과 트래픽(Traffic)의 차이

개념의미단위예시

대역폭 (Bandwidth) 초당 전송 가능한 최대 속도 Mbps, Gbps "100Mbps 인터넷 회선" (최대 100Mbps 속도 제공)
트래픽 (Traffic) 실제 전송된 데이터 총량 MB, GB, TB "하루 동안 50GB 트래픽 사용" (50GB 데이터를 주고받음)

💡 비유하자면:

  • 대역폭 = 고속도로의 차선 수 (최대 몇 대의 차가 지나갈 수 있는가?)
  • 트래픽 = 실제로 지나간 차량 수 (얼마나 많은 차가 이동했는가?)

2. 대역폭(Bandwidth) 산정 방법

🔹 (1) 사용자 수 기반 대역폭 계산

공식:

필요 대역폭 (Mbps)=사용자 수×1인당 평균 사용량 (Mbps)\text{필요 대역폭 (Mbps)} = \text{사용자 수} \times \text{1인당 평균 사용량 (Mbps)}

예시)

  • 사무실에서 50명이 동시에 인터넷 사용
  • 1인당 평균 인터넷 속도 필요량 2Mbps

50×2=100Mbps50 \times 2 = 100Mbps

즉, 최소 100Mbps 전용 회선이 필요합니다.

📌 활용 예시

사용 환경1인당 필요 대역폭사용자 수필요 대역폭

일반 사무실 1~2Mbps 50명 100Mbps
화상회의(HD) 3~4Mbps 20명 80Mbps
4K 스트리밍 25Mbps 10명 250Mbps
대기업 데이터 센터 100Mbps 이상 다수 1Gbps+

🔹 (2) 애플리케이션 기반 대역폭 계산

사용하는 서비스에 따라 대역폭을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

📌 서비스별 대역폭 요구량

서비스 유형필요 대역폭 (1명 기준)

일반 웹 서핑 1Mbps
유튜브 1080p 스트리밍 5Mbps
넷플릭스 4K 스트리밍 25Mbps
화상회의 (Zoom HD) 3Mbps
온라인 게임 3~10Mbps
대량 파일 업로드 100Mbps+

예시)

  • 회사에서 10명이 동시에 Zoom 화상회의(HD)를 진행

10×3=30Mbps10 \times 3 = 30Mbps

따라서 최소 30Mbps 이상의 대역폭이 필요합니다.


3. 트래픽(Traffic) 산정 방법

🔹 (1) 하루 트래픽 예측 공식

일일 트래픽 (GB)=대역폭 (Mbps)×사용 시간 (초)÷8÷10242\text{일일 트래픽 (GB)} = \text{대역폭 (Mbps)} \times \text{사용 시간 (초)} \div 8 \div 1024^2

(8은 비트 → 바이트 변환, 1024²는 MB → GB 변환)

예시)

  • 100Mbps 회선을 하루 10시간(36,000초) 동안 풀로 사용

100×36,000÷8÷10242=42.86GB100 \times 36,000 \div 8 \div 1024^2 = 42.86GB

즉, 하루 약 43GB 트래픽이 사용됩니다.


🔹 (2) 월간 트래픽 계산

월간 트래픽 (TB)=일일 트래픽 (GB)×30\text{월간 트래픽 (TB)} = \text{일일 트래픽 (GB)} \times 30

예시)

  • 하루 50GB 트래픽 사용 시:

50×30=1.5TB50 \times 30 = 1.5TB

즉, 한 달에 1.5TB 트래픽이 발생합니다.


🔹 (3) 웹사이트 트래픽 예측 공식

웹사이트 운영 시 트래픽을 예측하려면:

총 트래픽 (GB)=페이지 크기 (MB)×일일 방문자 수×평균 페이지뷰÷1024\text{총 트래픽 (GB)} = \text{페이지 크기 (MB)} \times \text{일일 방문자 수} \times \text{평균 페이지뷰} \div 1024

예시)

  • 웹사이트 한 페이지 크기: 2MB
  • 하루 방문자 10,000명
  • 평균 3페이지 조회

2×10,000×3÷1024=58.6GB2 \times 10,000 \times 3 \div 1024 = 58.6GB

즉, 하루 약 58.6GB 트래픽 발생.


4. 대역폭과 트래픽 초과 방지 방법

  1. QoS(Quality of Service) 설정: 특정 서비스(화상회의, VoIP)에 우선순위 부여.
  2. CDN(Content Delivery Network) 활용: 웹사이트 트래픽 부하 분산.
  3. 압축 기술 사용: 이미지, 영상 파일을 압축하여 트래픽 절감.
  4. 대역폭 제한 설정: 직원별 또는 서비스별 속도 제한.
  5. 사용량 모니터링: 트래픽 분석 도구(Nagios, PRTG)로 감시.

정리

  1. 대역폭(Bandwidth) = 최대 전송 속도 (Mbps, Gbps)
    • 필요 대역폭 = 사용자 수 × 1인당 평균 속도
    • 예: 50명 × 2Mbps = 100Mbps
  2. 트래픽(Traffic) = 실제 전송된 데이터량 (MB, GB, TB)
    • 일일 트래픽 = 대역폭 × 사용 시간 ÷ 8 ÷ 1024²
    • 예: 100Mbps × 10시간 = 43GB
  3. 웹사이트 트래픽 = 페이지 크기 × 방문자 수 × 페이지뷰 ÷ 1024
    • 예: 2MB × 10,000명 × 3 = 58.6GB
  4. 트래픽 초과 방지 방법: QoS 설정, CDN 활용, 압축 기술 사용, 모니터링 등

🚀 결론

  • 대역폭은 네트워크 속도, 트래픽은 실제 데이터 사용량.
  • 사용 인원과 서비스 유형에 따라 대역폭을 적절히 할당해야 함.
  • 트래픽 초과 시 비용이 추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전 관리가 중요!
300x25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