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배당락과 배당기준일 차이는?

728x90
반응형

 

 

배당과 관련된 중요한 개념인 **배당락(Ex-Dividend Date)**과 **배당기준일(Record Date)**의 차이


1. 배당기준일(Record Date)

  •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 주주를 확정하는 날입니다.
  • 이 날짜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이 날짜에 주식을 매수한다고 해서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건 아닙니다!
  • 왜냐하면? 주식 거래는 T+2(거래일 + 2일) 결제 방식이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2. 배당락(Ex-Dividend Date)

  • 배당을 받을 수 있는 마지막 날이 지나고, 배당 권리가 사라지는 날입니다.
  • 이 날부터는 주식을 매수해도 해당 배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 배당락일에는 배당금만큼 주가가 조정(하락)될 가능성이 큽니다.

 

🔄 배당락일과 배당기준일의 관계

배당락일은 배당기준일의 전날이 아니라, 2일 전!

 

📌 예시:

  • 배당기준일이 12월 31일이라면?
    • 배당락일: 12월 29일
    • 12월 28일까지 주식을 매수해야 배당을 받을 수 있음
    • 12월 29일 이후 매수하면 배당을 받을 수 없음

🧐 쉽게 정리하면?

 

구분 설명 중요 포인트
배당기준일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는 날 이 날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배당 가능
배당락일 배당 권리가 사라지는 날 이 날부터 매수하면 배당 X

 

📌 결론:

  • 배당을 받고 싶다면? → 배당락일 전날까지 주식을 매수해야 함!
  • 배당락일 이후에 매수하면? → 해당 배당을 받을 수 없음!

배당 투자할 때 꼭 확인해야 하는 개념이니, 잘 기억해두세요! 😊

300x250
반응형